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동력분산식 전기 동차로, 노후화된 무궁화호 객차를 대체하고 철도 여객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2023년 9월부터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을 시작했으며, 최고 영업 속도 150km/h, 설계 최고 속도 165km/h로 운행한다. 차내 무선 Wi-Fi, 전원 콘센트, USB 포트, 독서등 등 편의 시설을 갖추었으며, 일반 열차 최초로 객실 사이에 간이 좌석을 설치했다. 2022년부터 4량 1차분, 2024년부터 6량 1차분 차량이 도입되었으며, 2028년까지 총 107대의 ITX-마음을 전국의 일반 철도 노선에 확대 운행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원시스의 철도 차량 -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는 서해선 운행을 위해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이며, 현대로템과 다원시스에서 제작되었고, 1차분과 2차분의 제어 장치 및 외형, 도색에 차이가 있으며 현재 17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 다원시스의 철도 차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는 서울 4호선에서 운행되며 VVVF 인버터 제어 방식과 스테인리스 차체를 최초로 채용하고 볼스터리스 대차와 LED 전광판 형태의 차내 행선 안내 게시기를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 현재 노후 차량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이며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에서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 |
---|---|
차량 정보 | |
차량명 |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
전폭 | 3,150 |
전고 | 3,850 |
궤간 | 1,435 |
보안 장치 | ATS, ATP |
구동 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설계사 | 다원시스 |
제작사 | 다원시스 |
제작 연도 | 2022년 ~ 2028년 |
운영 회사 | 한국철도공사 |
생산량 | 474량 |
전장 | 23,500 |
편성 정원 | 4량: 264석 6량: 392석 |
![]() | |
량수 | 4량(단편성), 8량(중련운행) |
편성 구조 | 4량 1편성 (TC'-M'-M'-TC') |
동력 방식 | 동력분산식 |
제어 방식 | VVVF-IGBT (히타치 제작소, KEC 기반) |
전동기 형식 | CRRC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기동 가속도 | 65㎞/h까지 2.5㎞/h/s 이상 |
영업 최고 속도 | 150 |
설계 최고 속도 | 165 |
감속도 | 3.0km/h/s 이상 |
2. 도입 배경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객차를 대체하고, 증가하는 철도 여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었다.[1] 특히, 동력분산식 열차 도입을 통해 가감속 성능을 향상시켜 역 간 거리가 짧은 한국 철도 노선의 운행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좌석 공급량을 늘려 더 많은 여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1] 이 열차는 2022년부터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2023년 9월 1일부터 ITX-마음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로, 동력 장치가 전체 객차에 분산되어 있어 역 간 거리가 짧은 한국 환경에 최적화되어 기존 열차보다 운행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승객도 더 많이 수송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동력분산식으로 설계되어, 동력 장치가 객차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역 간 거리가 짧은 한국의 철도 환경에 적합하며, 기존 열차보다 운행 시간을 단축하고 더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게 한다.[1]
3. 성능
ITX-새마을에 사용되는 210000호대와 같은 이중 외피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한다.[1]
Hitachi영어의 소자를 기반으로 TawonSys영어가 개발한 IGBT 소자(소자는 KEC)를 사용하는 VVVF 인버터를 채용하고 있다.[1] 주전동기는 中國中車|중국중철중국어 제작의 다람쥐형 삼상유도전동기를 채용하고 있다.[1]항목 내용 영업 최고 속도 150km/h 설계 최고 속도 165km/h 가속도 2.5km/h/s (65km/h까지) 제동 방식 공기 제동, 회생 제동 안전 장치 ATS, ATP
4. 차량 특징
4. 1. 내부 시설
무선 Wi-Fi 서비스, 전원 콘센트, USB 포트 및 좌석등과 같은 시설이 갖춰져 있다.[1] KTX를 제외한 일반 열차로는 처음으로, 객실 사이에 입석 승객을 위한 간이 좌석이 설치되어 있다.[1]
4. 2. 기술적 특징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이며, 동력분산식은 동력 장치가 전체 객차에 분산된 방식으로 역 간 거리가 짧은 우리나라 환경에 최적화돼 기존 열차보다 운행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승객도 더 많이 수송할 수 있다. 히타치 제작소의 소자를 기반으로 타원시스가 개발한 IGBT 소자(소자는 KEC)를 사용하는 VVVF 인버터를 채용하고 있다. 주전동기는 중국중철 제작의 다람쥐형 삼상유도전동기를 채용하고 있다.[1]
5. 도입 현황
220000호대는 노후화된 여객차 및 기관차형 무궁화호를 대체하기 위해 2022년부터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2023년 9월 1일부터 ITX-마음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 4량 편성이지만, 2편성을 연결하여 8량 편성으로 운용하기도 한다.
1차분은 4량 27편성과 6량 7편성이 제작될 예정이며, 2028년에는 2차분으로 4량 편성 28편성과 6량 편성 16편성의 제작이 예정되어 있다.
5. 1. 220000호대 (4량) 1차분
ITX-마음영어 1차 도입분은 2022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했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총 25개 편성이 운행 중이며, 26호기는 시운전 중, 27호기는 수리 중이다.[1]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1호기 | 2022년 | 운행 중 | |
2호기 | 운행 중 | 강원랜드 랩핑 적용 | |
3호기 | 운행 중 | ||
4호기 | 운행 중 | ||
5호기 | 운행 중 | 4호차에 ITX-마음영어 로고 랩핑 적용 | |
6호기 | 2023년 | 운행 중 | |
7호기 | 운행 중 | ||
8호기 | 운행 중 | ||
9호기 | 운행 중 | ||
10호기 | 운행 중 | ||
11호기 | 운행 중 | ||
12호기 | 운행 중 | ||
13호기 | 운행 중 | ||
14호기 | 운행 중 | ||
15호기 | 운행 중 | ||
16호기 | 운행 중 | ||
17호기 | 운행 중 | ||
18호기 | 운행 중 | ||
19호기 | 운행 중 | ||
20호기 | 운행 중 | ||
21호기 | 운행 중 | ||
22호기 | 운행 중 | ||
23호기 | 운행 중 | ||
24호기 | 운행 중 | ||
25호기 | 운행 중 | 발판 고장으로 인한 사고 이력 존재 | |
26호기 | 2024년 | 시운전 중 | |
27호기 | 2025년 예정 | 수리 중 | 공장에서 시운전 도중 파손[1] |
5. 2. 220000호대 (6량) 1차분
5. 3. 향후 계획
2028년까지 총 107대의 ITX-마음을 전국의 일반철도 노선에 순차적으로 확대 운행할 예정이다.[1] 다원시스에서는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될 차량까지 포함하여 총 150량을 제작 중이며, 2차분으로 208량, 3차분으로 116량을 제작할 예정이다.6. 운행 노선
2023년 9월 1일부터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동해선, 대구선, 영동선, 태백선, 중앙선에서 총 10편성이 하루 22회 운행한다.[1]
7. 기타
2023년 8월 25일 태백역에서 신형 동력분산식 일반열차(EMU-150) ‘ITX-마음’ 시승행사를 진행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